전국 저수지 댐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공공데이터포털 '전국저수지및댐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2 / 2025-01-06 10:38:09
조선 전기 경제사 너무 약해요 ㅠㅠ 어쩔 수 없지.. 일단 무작정 외워.. 외우고 보는 거야.. 과전법 직전법 관수관급제 / 답험손실법 공법 국용전제 여기서 나중에 조선 후기 경제사를 이어 붙이자 ^^!! 조선 사회사 너무 조아요 ~ 전공으로도 열심히 공부하고 해당 교수님 교양까지 따라가서 열공 빡공해서 그런지 두뇌...
2024(2024-05-19 23:25:00)
조선 후기 효종, 숙종, 정조도 이순신을 매우 존경했다고 한다. 일본군의 조선 침략 당시 3주 만에 수도 한양, 2개월 만에 평양을 함락시키는 등 전세가 일본군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하게 전개되던 차에 수군을 거느리고 전투마다 앞장서서 진두지휘하며 뛰어난 지략과 용맹함을 발휘하여 승리했고, 이를 통해 일본군의...
PINK SALT(2024-06-05 08:52:00)
조창에 집결한 뒤 조운을 통해 운반 전기 : 관선 중심 조운체제, 차츰 동요 후기 : 사선임선 이용 일반화, 숙종 30년(1704) 조운제 공식 혁파 (4) 잉류 지역...구분, 미 400두 전제 결과 : 양전 결과 결수 증가, 농민 부담 경감 (3) 국용전제(세종 27년, 1445) 호조가 세를 직접 거둬서 관아에 지급(위전 수취 방식은...
토도스24 동대구역점(2024-06-25 19:34:00)
산행후기. ◇ 순천 제일교회앞-신대산업단지-옥녀봉(120.9m). 3.6km. 1시간 10분. 07 : 02. 순천제일교회 앞 전라선 철로건너 공사가 완료된 4차선도로에서 새마을 조경농장으로 들어서며 산행시작. 07 : 21. 131m봉.좌로 내려감.길 좋아짐. 07 : 29. 147m봉. 제주양씨묘.철탑. 07 : 36. 119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07...
산경표를 따라서(2010-03-11 22:52:00)
국용전제 시행 이후 국가의 일용경비 외에는 모두 군자곡으로 저축하도록 하였고, 군자곡은 재정 운영의 예비 경비로 사용되거나 혹은 진휼 등의 용도로 사용됨 · 결부제: 절대면적이 차이나더라도 같은 1결로 평가되면 결당 생산량은 모두 같은 것으로 취급함 · 답험손실법: 매년 풍흉을 조사하여 손실분에 비례해...
dci99136님의 블로그(2023-03-11 18:34:00)
국용전제가 향리만이 아닌 전체 수조지 지급 규모 및 대상에 대한 체계화 조치(를 통한 백성 일반에 대한 사적인 침탈 규제)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음, 향리들에 대한 권한 약화를 통한 중앙정부의 지방통제력 강화는 비단 세종 개인만이 아닌 조선초기 전체를 관통하는 중앙정부 차원의 일관된 정책 흐름이었음을...
타브가치의 역사 공부(2022-01-30 01:56:00)
국용전제(國用田制) 전주 임의 징수 토지 축소 • 1466(세조12) 직전제(職田制) 시행 관직자에 현직, 당대 한해 토지 징수권 • 1478(성종 9) 관수관급법(官收官給法) 시행, 사전에도 국가 지급,징수권 모든 토지에 왕권이 일률적으로 미치는 과정= 백성 국역 일률 시행 • 관직자, 향리, 군인 지급 양반전, 인리위전...
충무공이순신(2023-10-10 17:23:31)
고려 후기에는 20석이 생산되는 면적을 1결이라 했기 때문에 1결의 실제 면적이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달랐습니다. 가령 A라는 관리가 전시과 토지로 12과 50결의 토지를 받았다면, 이는 그만한 토지를 직접 받은 것이 아니라 50결의 토지에서 생산된 양 가운데 법정 조세율인 10분의 1만큼의 수확물을 국가를 대신해...
소요천(逍遙泉)(2020-06-17 07:21:00)
국용전제의 시행 이후 ‘사적 공상’은 축소되고, 공상아문을 통한 공적 공상의 영역은 확대·정비되어 갔다. 태종·세종대에 크게 이·합속되어 정비되었는데, 1401년(태종 1) 관제개혁에 따라 내부시(內府寺)는 내자시로, 사농시는 전농시(典農寺)로, 요물고는 공정고(供正庫)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460년(세조 6...
전통식생활문화연구원(2020-12-18 15:05:00)
국용전제(國用田制)가 시행되어 국가가 직접 수조하는 것으로 전환함으로써 국가재정을 통일적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이는 수조권을 매개로 한 농민지배가 약화되고 토지소유권이 안정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지주층은 탈점, 매득, 개간 등으로 토지 소유를 확대해 나갔다. 농민의 토지 상실도 심각해져...
달이랑별이랑(2005-10-16 19:28: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